나윤위 작명 연구원

작명칼럼

제목 음운(音韻) : 1. 기본구성


 



 


 


 

1. 기본구성

음운(音韻)은 초성(初聲)의 연결을 최우선시하며 종성연결과 발음의 동선, 연음, 격음화, 경음화 현상 등을 고려하여 종합적으로 판단한다. 음운은 사주(四柱)상의 용희신(用喜神)으로써 정하는 것이 아니라 구성자체가 상생(相生)하고 좋은 구성으로 한다.

 

초성(初聲)이 상생(相生)해야 하며 종성(終聲)으로 연결해서 보았을 때에 모두 剋하지 않는 구성이 합당한데 초성도 모두 상생하고 종성도 모두 상생해야하는 것은 아니다. 종성의 연결이 부분적으로는 상생하고 부분적으로는 상극하는 것도 합당하다는 것이다.

 

陰陽과 五行적인 고려뿐만이 아니라 음운론(音韻論)적인 고려도 겸비해야 발음의 동선이 자연스럽고 어감이 좋다. 앞서 陰陽편에서 언급했듯이 모음(母音)의 陰陽도 고려해야 한다.

종합(綜合) : 2. 작명(作名)과 감명(鑑名)의 기준
2. 작명(作名)과 감명(鑑名)의 기준1) 陰陽이 조화를 이뤄야 한다(획수, 字形, 모음).2) 지인외총의 사격수리가 吉해야 한다. 3) 수리를 木火土金水의 五行으로 나타낸 오행배열의 운용이 이치에 맞으며 그 사람..
 
종합(綜合) : 1. 합당한 이름의 조건 <나윤위 원장의 ..
1. 합당한 이름의 조건 현재 대한민국에 現存하는 성명학설-작명법은 매우 다양합니다. 姓名學이란 학문은 하나의 뿌리에서 출발하였으나 점 차 시간이 가면서 다양한 이론이 생기고 학파가 갈리고 하면서 현재..
 
명자(名字) : 항렬자(行列字)와 돌림자
항렬자(行列字)와 돌림자각 가문마다 선대(先代)에서 정해놓은 항렬자(行列字)가 있다. 항렬자(行列字) 사용의 가장 큰 목적은 세대(世代)를 나타내기 위함이고 가문의 뿌리를 이어가는 정신이다. 대개 이름..
 
자의(字意) : 글자의 선택
글자의 선택일반적으로 생각하는 것 과는 달리 이름자로는 웬만한 글자를 다 쓸 수 있다. 하지만 심리학적 부분을 고려하여 되도록이면 凶한 뜻을 내포하고 있는 글자는 피하며 뜻이 깊고 좋은 글자로써 택..
 
자원(字原) : 2. 자원(字原)의 구분
2. 자원(字原)의 구분자원(字原)을 구분할 때는 글자의 부수(部首)만을 살피지 않으며 글자 전체의 성질, 구성과 뜻 그리고 어원을 살펴서 판단해야 한다. 어느 한 개의 五行으로만 구분지을 수 없는 글자도 상..
 
자원(字原) : 1. 자원(字原)의 고려
1. 자원(字原)의 고려자원(字原)은 용희신(用喜神)과 전체적인 이름의 구성을 고려하여 적절하게 선택해야 한다. 인격(人格)으로써 갖춰진 中心五行과 사주(四柱)상의 용희신(用喜神)을 대조해 본 후 전체적인 ..
 
음운(音韻) : 3. 원음과 두음법칙
3. 원음과 두음법칙음운(音韻)을 구성할 때에 사용하고자 하는 글자의 원음(原音)을 필히 살펴야 한다. 어처구니없게도 인위적으로 만들어진 국어학의 두음법칙이 사람 이름에도 적용토록 되어 있어 혼란을 초래..
 
음운(音韻) : 2. 주의사항
2. 주의사항음운(音韻)의 구성이 상생(相生)한다고 해서 무조건 좋은 것이 아니고 상극(相剋)한다고 해서 무조건 나쁜 것이 아니다. 五行의 섭리는 매우 현묘하며 木剋土의 상극관계와 土剋水의 상극관계는 다른..
 
음운(音韻) : 1. 기본구성
1. 기본구성음운(音韻)은 초성(初聲)의 연결을 최우선시하며 종성연결과 발음의 동선, 연음, 격음화, 경음화 현상 등을 고려하여 종합적으로 판단한다. 음운은 사주(四柱)상의 용희신(用喜神)으로써 정하는 ..
 
수리오행(數理五行) : 4. 수리오행(數理五行)의 운용
4. 수리오행(數理五行)의 운용수리(數理)의 연결이 매끄럽지 못할 때에 다음과 같은 경우에 부합하면 부조화(不調和)를 어느정도 삭감할 수 있다.1) 자원(字原)이 수리(數理)의 연결에 통근(通根)하는 경우.2) ..